서론
ATI 라데온 시리즈에 비해 NVIDIA의 지포스 시리즈가 가진 장점중 하나는 그래픽 카드의 활용도가 더 높다는 것입니다. 주 목적인 게임 성능만 놓고 논하자면 양쪽이 서로 장단점이 있는 부분이지만 GPGPU 분야에서는 차이가 분명이 있죠. 게임에서는 PhysX가 있고 비디오 인코딩이나 필터 처리 같은 고수준의 연산 등등 매력적인 부분이 많습니다. 여러 마리 토끼를 다 잡겠다면 지포스를 쓰는게 답이겠지만 개인적인 취향이 라데온이라면 얘기가 좀 달라집니다.
윈도우 XP와 윈도우 7에서는 다중 그래픽 카드 사용이 가능합니다. (비스타는 그래픽 시스템 자체가 이게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라데온 유저들이 지포스를 세컨더리 그래픽 카드로 사용하기 시작했죠. 주 목적은 게임에서의 PhysX였습니다. 이른바 Hybrid PhysX의 시작이었죠. 그런데 이를 지켜만 보던 NVIDIA에서 언제부터인가 드라이버 레벨에서 이를 차단해 버렸고 사용자들은 차단한 부분을 패치(Hybrid PhysX mod)하여 쓰는 식으로 빠져 나갔습니다.
저 또한 이에 관심을 갖고 지켜 보고 있었는데 최근에 HTPC의 GT 240을 떼어내면서 '한 번 시도해볼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전에 잠깐 꼽아서 Hybrid PhysX mod를 적용해 본 적이 있었는데 그 때는 이런 저런 문제들로 인해 잘 되지 않아서 제대로 테스트를 못 해 봤었습니다. 그러던 중 얼마전에 NVIDIA에서 공개한 최신 베타 드라이버에는 Hybrid PhysX를 막는 루틴이 실수(?)로 빠져 있어서 별다른 패치가 필요 없다더군요. 그래서 다시 시도해 보았습니다.
준비
GT 240에는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가 인식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수동으로 디스플레이를 추가해 줘야 되죠. 우선 제어판의 화면 해상도에 들어가 <감지> 버튼을 누른 후 GT 240을 선택합니다.
자동으로 감지가 안되므로 강제로 연결되게끔 선택해 줍니다. 그리고 나서 <적용> 버튼을 눌러 주면 설정이 변경되고 디스플레이는 두 개가 됩니다.
새로 추가한 디스플레이 그림을 클릭한 후 '다중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 확장'을 선택하고 '적용' 또는 '확인' 버튼을 눌러 주면 화면이 잠시 껌뻑거리면서 변경 사항이 설정됩니다.
PhysX: FluidMark
왼 쪽이 CPU(Core i5 750 @ 3.6GHz)만으로 처리한 것이고 오른 쪽은 GT 240입니다. 2배 조금 넘는 성능을 보여주는군요. 생각보단 성능차가 크지 않은데 오버클럭된 i5 750의 성능이 좋은 것인지 GT 240의 성능이 낮은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비디오 디코딩 가속: CoreAVC
비디오 인코딩 가속: Premiere Pro CS5
이 번 테스트의 마지막으로 비디오 인코딩을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Adobe에서 CS5가 나오면서 NVIDIA만 지원하는 가속 엔진(Mercury Playback Engine)을 보고 입맛만 다셨는데 약간이마나 그 맛을 봐 볼까 합니다.
Premiere Pro 사용시 한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PhysX를 테스트하기 위해 제어판의 화면 해상도 설정에서 데스크탑을 확장하게 세팅했었는데 이 상태에서는 에러가 많이 발생합니다. Premiere Pro의 속도가 느려진다던지 종료가 안되는 문제가 있더군요. 그런데 데스크탑 확장을 해제하고 '1에만 바탕 화면 표시'로 변경해 주자 문제가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도 드물게 NVIDIA 그래픽 오류가 발생하곤 하던데 그 원인을 모르겠으며 오류가 발생하고 나면 가속이 안되는 듯 하여 리부팅했었습니다. 아무튼 Hybrid PhysX 환경이 Premiere Pro와의 상성이 좋지 않은 것인지 GT 240이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카드가 아니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실제 작업환경으로는 그리 적합치 않아 보였습니다.
결론
ATI와 NVIDIA의 한 지붕 두 가족 구성은 대체로 훌륭하게 동작하는 듯 합니다. 비록 게임에서 테스트를 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장담할 수는 없지만 일단 FluidMark에서는 정상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CoreAVC나 Premiere Pro를 통해 CUDA 엔진도 무난하게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Premiere Pro는 다소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긴 했지만 GT 240으로도 어느 정도 가속 능력을 체험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NVIDIA의 실수(?)로 인해서 간편하게 Hybrid PhysX가 가능하게 되었는데 곧 이어 등장한 정식 버전(257.21)에서는 막아버려서 사용을 못하게 됐다고 하니 필요한 분들은 업그레이드를 하지 말아야 겠습니다. PhysX System Software가 문제인데 PhsyX를 지원하는 새로운 게임이 나오면 업데이트 돼 버릴 수 있으니 말이죠. 이 것도 강제로 다운그레이드하면 해결될 것 같긴 한데 버전에 따라 문제를 일으키는 게임들도 있고 하니 개운치는 않네요. ㅎㅎ
PhysX를 지원하는 게임의 수가 많지 않은 관계로 Hybrid 환경을 제대로 즐기기엔 좀 아쉬운 상황이지만 GT 240 같은 여분의 카드가 있는 분이거나 메인 그래픽카드의 업그레이드를 고려하는 분이라면 Hybrid 환경도 괜찮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평상시에 쓸 데 없이 전기만 먹고 있기 때문에 이 점이 조금 걸리긴 하지만 정 찜찜하다면 평상시엔 뽑아 뒀다가 PhysX 게임을 즐길 때만 꼽아서 쓰는 방법도 있을 것입니다. ^^
'컴퓨터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플랫폼에서 AHCI 전환하기 (8) | 2010.06.25 |
---|---|
기가바이트 GA-P55A-UD3R (6) | 2010.06.24 |
한컴오피스가 6,930원!! (1) | 2010.06.12 |
D-Link DIR-655의 USB 프린터 공유 (3) | 2010.06.08 |
인터넷 전화 보안 이래도 되는지? (2) | 2010.05.03 |